NestJS
07 [NestJS] Pipe(class-validator, class-transformer)
DTO 포스팅에서 ValidationPipe를 처음 접했다. DTO 클래스에 데코레이터 몇개 붙이는 것만으로 유효성 검사가 자동으로 처리되다니.
Express에서 if문으로 가득 찬 유효성
NestJS
06 [NestJS] DTO
NestJS로 코드를 짜면서 컨트롤러의 @Body() 데코레이터에 타입을 any로 두는 게 영 찜찜했다. Express 시절 req.body를 다룰 때처럼, 어떤 데이터가
NestJS
05 [NestJS] Request-Response 생명주기
NestJS의 개별 요소들을 하나씩 보다보니, 문득 전체적인 그림이 궁금해졌다. GET /users/1 같은 HTTP 요청이 하나 들어왔을 때, 이 요청이
NestJS
[NestJS] Validation Decorators
검증 데코레이터
일반적인 검증 데코레이터
데코레이터
설명
@IsDefined(value: any)
값이 정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(!== undefined, !== null). 이는 skipMissingProperties 옵션을 무시하는
NestJS
[Type ORM] TypeORM 들어가기
레거시 SQL을 떠나 TypeORM으로 입문
그동안 Node.js와 MariaDB로 백엔드를 만들면서, 나는 ORM 없이 순수 SQL 쿼리만 고집해왔다. 내가
NestJS
04 [NestJS] Module
모듈(Module),
NestJS에서 모듈은 @Module() 데코레이터가 붙은 클래스다. 이 데코레이터는 NestJS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.
단순히 말해,
NestJS
03 [NestJS] 의존성주입(DI)
개발을 하다 보면 여러 클래스나 모듈이 서로를 필요로 하는 상황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. 의존성 주입은 바로 이 '의존' 관계를
NestJS
02 [NestJS] Node.js 개발자를 위한 TypeScript 데코레이터 이해하기
Node.js로 개발하다가 NestJS를 처음 접하면 가장 낯선 것 중 하나가 바로 데코레이터(@)다. @Controller(), @Get(), @Injectable() 같은 것들을 보면서
NestJS
01 [NestJS] CLI를 이용한 프로젝트 설치 및 초기 구조 이해
NestJS는 Node.js 기반의 서버사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다. TypeScript를 기본으로 하며, Angular의 아키텍처에서 영감을 받아 데코레이터와 모듈 시스템을 활용한다.